준불연 저방사 단열재 ㅣ limited combustible Insulation
준불연 열반사 단열재는 열을 방출하지 않는 낮은 방사율을 갖는 Aluminum Foil 작은 공기 주머니가 형성되도록 펀칭(Punching)된 PE(Polythylene) Form의 양측면에 접착하여, 낮은 방사율을 통한 복사열 차단과 대류 및 전도 과정에서 열 이동을 최소화시킨 시트(Sheet)형 복합 소재 기능성 단열재입니다.
제 품 명 | 케이론 준불연 열반사단열재 |
제품 용도 | 건축물 준불연성 보온 단열재 |
제품 특징 |
- 준불연성: 건축물 화재시 화재 확산 속도를 지연시켜 인명과 재산의 피해 최소화 - 단열성: 방사율 0.04의 저방사 기능과 96%의 고반사 기능으로 높은 복사열 차단 효과 - 경제성: 높은 융복합 단열 성능으로 제품 자체는 물론 전체 건설 공정에서 높은 경제성 확보 - 시공성: 재단, 절단이 용이하며 다양한 유형의 건축물에 적용 가능 - 내구성: 알루미늄 부식 방지 코팅으로 내구성 향상 |
제품 색상 | 표면-은색 알루미늄 소재 색상 |
성능 정보 | 하단의 공인인증기관 발급 시험성적서 참조 |
단열재별 두께별 기대 효과
ㅣ Thickness specific effect
건축물의 부위 | 중부 지방 | 남부 지방 | 제주도 | ||
거실의 외벽 | 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 | 공동주택 | 0.210 이하 |
0.260 이하 |
0.360 이하 |
공동주택 외 | 0.260 이하 |
0.320 이하 |
0.430 이하 |
||
외기에 간접 면하는 경우 | 공동주택 | 0.300 이하 |
0.370 이하 |
0.520 이하 |
|
공동주택 외 | 0.360 이하 |
0.450 이하 |
0.620 이하 |
||
최하층에 있는 거실의 반자 또는 지붕 |
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 | 0.150 이하 |
0.180 이하 |
0.250 이하 |
|
외기에 간접 면하는 경우 | 0.220 이하 |
0.260 이하 |
0.350 이하 |
(단위: W/m²·K)
중부지역: 서울특별시, 인천광역시, 경기도, 강원도(강릉시, 동해시, 속초시, 삼척시, 고성군, 양양군 제외), 충청남도(천안시), 경상북도(청송군)
남부지역: 부산광역시, 대구광역시, 광주광역시, 대전광역시, 울산광역시, 강원도(강릉시, 동해시, 속초시, 삼척시, 고성군, 양양군), 충청북도(영동군), 충청남도(천안시 제외), 전라북도, 전라남도, 경상북도(청송군 제외), 경상남도, 세종특별자치시
단열재의 등급 분류 ㅣ Classification
단열재의 등급 분류는 단열재의 열전도율의 범위에 따라 등급을 분류합니다
등급 분류 | 열전도율의 범위 (KS L 9016에 의한 20=5℃ 시험조건에서 열전도율) |
KS M 3808, 3809 및 KS L 9102에 의한 해당 단열재 및 기타 단열재 | |
W/m·K | ㎉/㎡h℃ | 참고 사항 | |
가 | 0.034 이하 | 0.029 이하 |
압출법 보온판 특호, 1호, 2호, 3호 |
나 | 0.035 ~ 0.040 | 0.030 ~ 0.034 |
비드법 보온판 1종 1호, 2호, 3호 |
다 | 0.041 ~ 0.046/td> | 0.035 ~ 0.039 |
비드법 보온판 1종 4호 |
라 | 0.047 ~ 0.051/td> | 0.040 ~ 0.044 | 기타 단열재로서 열전도율이 0.047~0.051 W/m·K(0.040~0.044 ㎉/㎡h℃)이하인 경우 |
제품 규격 ㅣ Product Specification
두께별 단열재의 규격과 마감별 단열재를 포함한 벽체 구성을 확인해 보세요.
제품명 | 기능 | 규 격 | 제품의 용도 | ||
두께 | 폭 | 길이 | |||
40T | 준불연 저방사 단열재 Low-Emissivity |
40mm | 1 M | 10 M | 건축용, 공업용 (석조, 신축 건물, 리모델링, 대리석, 적벽돌, 사이딩, 외·중·내단열재) |
50T | 50mm | 1 M | 8 M | ||
60T | 60mm | 1 M | 7 M |